오랜만에 한국에서 운전을 하면서 교통감응신호와 비보호좌회전 운전이 아직도 낯설었습니다. 두 신호의 운전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 안전 운전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교통감응신호
교통감응신호란?
신호등 운영방법 중 하나로 자동차나 보행자의 존재를 감지하여 신호가 부여되는 시스템입니다. 바닥에 흰색이나 청색의 사각형 안에 '감응'이라고 쓰여 있거나, 신호등 옆에 감응신호 표지판이 설치된 곳이 '감응신호'가 작동하는 곳입니다.
도입이유
좌회전 차량이나 보행자가 없는 경우에 좌회전 신호 및 보행자 신호를 생략하여 도로 통행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취지에서 도입되었습니다. 즉 차량의 통행이 많지 않은 곳에 주로 설치되어 센서를 통해 차량이 감지될 때 좌회전 신호로 바뀌며 좌회전하는 차가 없을 때는 직진 신호만 주어집니다. 좌회전이나 보행자 통행량이 적은 곳에 비보호좌회전이나 무신호 횡단보도를 운영할 수 있지만, 비보호좌회전은 마주 오는 차량과 출동 가능성이 있고 무신호 횡단보도는 노약자의 사고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좌회전 감응 신호기나 보행자 작동 신호기가 사용됩니다.
주의사항
감응신호는 자동차가 정지하면 바로 신호를 바꿔주지 않습니다. 자동차가 없을 때, 작동하지 않던 신호를 작동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호가 바뀌지 않는다고 고장이 난 것이 아니라 대기 시간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또한 차량을 감지하여 신호가 작동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차량을 감지하지 못하면 신호가 바뀌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각형 네모 안에 차량을 정차 키셔야 신호가 바뀐다는 것을 유의해야겠습니다.
2. 비보호좌회전 운전방법
비보호좌회전은 꼭 파란불일 경우 통과가능하며 빨간불에서는 통과하시면 안 됩니다. 빨간불에 통과하는 것은 신호위반으로 범칙금 대상입니다. 또한 파란불일 때 통과하더라도 보행자나 반대편 차량을 확인하여 통과를 하는 것이 비보호좌회전 통과방법입니다.
광
3. 비보호좌회전과 교통감응신호 차이점
비보호좌회전과 교통감응신호 모두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며, 차이점은 교통감응신호의 경우 좌회전 신호를 받고 통과하기 때문에 조금 더 안전하며 비보호좌회전은 정식 좌회전 신호를 받고 통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고에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운전은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안전과도 직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위해 신호를 잘 지켜야 겠습니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 쏠퀴즈 정답(10월 19일 목) (0) | 2023.10.19 |
---|---|
일본에서 렌트카 운전하는 방법 (1) | 2023.10.18 |
파주, 여주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매장 초대박 할인 이벤트 (0) | 2023.10.17 |
오토홀드 기능, 사용방법 및 주의점 (1) | 2023.10.17 |
옆머리 탈모 원인, 예방 습관 및 효과적인 방법 (3) | 2023.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