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타던 자동차를 팔고, 새로운 차를 구입했습니다. 그동안 기술이 발전해서 많이 편리해졌더군요. 초보자 입장에서 하나씩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자동차 오토홀드 기능, 사용방법 및 주의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오토홀드 기능
오토홀드 버튼은 정차할 때 브레이크를 잡아주는 기능, 신호 대기 중에 브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지 않아도 되는 기능을 합니다. 즉 변속 버튼이 'D, N, R'위치나 수동 변속 모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차량이 정지한 후에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도 정지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변속버튼이 'D 나 R'위치나 수동 변속 모드에서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자동응로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되고 차량이 출발합니다.
2. 사용방법
변속기어 주변에 'AUTO HOLD'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계기판에 AUTO HOLD 글씨가 나타납니다. 오토홀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하게 되면 녹색으로 바뀝니다.
녹색불로 바뀌었을 때 발을 떼보면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큰사거리 교차로 신호 대기시간은 3분이 넘고 고속도로에서 차가 많이 막힐 때 편리한 기능이죠. 또 경사길에서도 차가 밀리는 것을 줄이는데 효과적입니다. 출발할 때는 엑셀레이터를 살짝 밟아주면 됩니다. 이때 오토홀드 표시등은 녹색에서 흰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오토홀드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차가 정지했을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AUTO HOLD'버튼을 눌러주면 기능이 완전히 해제되고 'AUTO HOLD'표시등이 꺼지게 됩니다.
3. 주의점
오토홀드가 켜진 상황에서 후진기어를 넣으면 차가 움직이게 됩니다. 주차할때 보통 후진기어를 쓰기 때문에 브레이크 홀드를 풀어주는 것인데요. 다시 Drive모드에서 앞으로 갈 때는 홀드가 됩니다. 그러므로 주차할 때는 꺼야 하는 기능입니다. 그리고 자동세차로 진입할 때는 바퀴가 구동이 되어야 하므로 오토홀드 기능을 해제해야 합니다. 또한 운전석 문, 보닛 등 이 열린 상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실제 오토홀드 기능을 믿고 주차한 사람들에 의해 접촉사고 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새로운 기능들이 많아서 편리한 점도 있지만, 그만큼 주의해야 안전운행을 할 수 있습니다. 운전은 나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안전과도 연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작동법을 하나씩 잘 숙지해서 활용해야겠습니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감응신호와 비보호좌회전 운전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3.10.17 |
---|---|
파주, 여주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매장 초대박 할인 이벤트 (0) | 2023.10.17 |
옆머리 탈모 원인, 예방 습관 및 효과적인 방법 (3) | 2023.10.15 |
바둑 : 급수 및 단에 대한 이해와 시험 없이 공인 급수 따는 방법 (1) | 2023.10.12 |
학자금 대출 저금리(2.9%)로 전환 대출 신청방법 (0) | 2023.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