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종시 입주물량에 따른 투자(24년~26년)

by 예쁜꿀벌 2023. 9. 23.

세종시 입주물량에 따른 투자(24년~26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22년부터 시작된 하락장에서 가장 먼저 반등한 곳이죠. 세종, 동탄, 송도 등 하락이 빠르고 깊이 왔던 지역에서 반등도 먼저 나왔습니다. 세종시가 완성되어 감에 따라 이제 남은 입주도 얼마 없는데요. 24년 ~26년 입주물량을 살펴보고 현재 분위기도 살펴보겠습니다.
 

1. 세종시 위치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경계상에 위치하고 동쪽에는 청주시, 남쪽으로는 대전광역시, 서쪽에는 공주시와 맞닿아 있어서 공급을 살펴볼 때 이 지역들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세종시 위치
출처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 세종시 도시 완성계획

국토 균형발전과 행정 수도 이전을 위해 만들어 진 도시로 우리나라 국토 중심부에 위치한 특별자치시로 초기단계(07년~15년), 성숙단계(15년~20년)를 거쳐 현재 완성단계(20년~30년)에 접어들어 복합 자족도시를 완성해 가고 있습니다.
 

 
역할별로 6개월 생활권으로 나뉘어져 있고, 지형이 분지형이기 때문에 도시가 완성된 경우 도시 확장 여부는 크지 않습니다.  생활권별 특성에 따라 부동산 가치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활권별 특성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종시 생활권별 특성
출처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3. 세종시 인구

세종시는 많은 정부기관 및 국책 연구기관 등이 이주하고, 주변 지역 인구를 흡수하면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다 20년부터는 증가세가 둔화되었고 23년 8월 기준 385,953명입니다. 2040년까지 80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영유아~10대 비율이 25%로 전국에서 압도적으로 많고, 20~40대 젊은 층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평균연령 37.4 세로 가장 젊은 도시입니다.
 

 
세종시는 공립초등학교 바로 옆에 대부분 공립유치원도 함께 지었기 때문에 국공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아이키우기 좋은 도시이기도 합니다.  
인구이동을 살펴보면 인접해 있는 충청도 지역에서 유입이 많고, 특히 대전에서 유입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은 편입니다. 

세종시 인구유입되는 도시
출처 : 아실

4. 세종시 입주물량

세종시 공급그래프세종시 입주물량
출처 : 아실

23년은 적정수요와 비슷하게 공급이 되고, 24년에는 수요대비 공급이 많은 편입니다. 1월에 6-3생활권인 산울동 입주가 1350세대, 7월에 1350세대이며, 10월에는 구도심 조치원 쪽 공급입니다. 부동산 분위기가 좋다면 24년도 공급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반등을 이어나가지 못하고 다시 조정 또는 하락장에 들어가면 수요보다 많은 공급량이 가격하락을 가져올 수도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25년은 적정 수요보다 공급이 적고 26년부터는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보통 아파트 건설에 2-3년이 걸리나는 것을 감안하면, 26년은 공급이 거의 없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또한 세종은 나라에서 밀어주고 있는 도시이다 보니, 주목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요즘에는 조금 뜸하지만 부동산 전문가 빠숑의 유명한 말이 있죠. '세종은 지금이 가장 싸다'. 세종의 전성기 때 많이 들었던 이야기인데요.
 

 
다음 포스팅에서 생활권별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전과의 관계, 학군, 상권 및 인프라. BRT등 교통 등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