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대구 아파트 입주물량 (23~24년) 및 투자타이밍

by 예쁜꿀벌 2023. 5. 14.

대구 아파트 적정수요는 약, 1.2만인데, 올해는 적정수요의 3배 정도의 입주물량이 대기하고 있다. 향후 대구 23년-24년 대구 아파트 입주물량을 살펴봄으로써 대구 투자타이밍을 고려해 보고자 한다.

 

부동산시장이 전체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분위기가 좋지 않은 곳이 대구이다. '물량 앞에 장사 없다'라는 말이 실감되는 곳이다. 1년 적정물량 1.2 만대비 입주물량은 22년 2.2만, 23년 3.2만, 24년 1.6만, 25년 1.0만으로 나타나고 있지만(아실 등 부동산 데이터 제공 앱) 통계에 나타나지 않는 물량 및 예정세대를 고려한다면 적정물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제 대구는 2020년부터 수요를 초과하는 아파트 공급이 있었으나 21년까지는 물량을 소화하며 가격이 상승하였는데, 21년 말부터 하락세로 전환하여 아직도 분위기가 안 좋은 상황이다.

대구의 입주물량

1. 23년 입주물량 : 43개 단지, 총 32,580세대

입주시기 아파트명 소재지 총세대수
23.1 해링턴플레이스 만촌 수성구 만촌동  291
  안심뉴타운호반써밋 이스텔라 동구 안심뉴타운 315
  청라힐스 자이 중구 남산동 937
23.2 동개두해모로스퀘어 이스트 동구 신암동 935
23.3 서대구 KTX영무예다음 서구 평리동 1418
  다사역 금호어울림센트럴 달성군 다사읍 945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 동구 효목동 627
  대봉교역 태왕아너스 남구 이천동 412
23.4 동대구해모로스퀘어 웨스트 동구 신암동 1122
  설화명곡역 우방아이유쉘 달성군 화원읍 320
  서대구역서한이다음퍼스트 서구 평리동 856
23.5 대구역오페라 더블류 북구 고성동 1088
  달서코아루 더 리브 달서구 본동 240
  해링털플레이스 감삼 달서구 감삼동 320
  더샵 수성라크에르 수성구 지산동 899
  태전동 광신 프로그레스 북구 태전동 532
23.6 빌리브메트로 뷰 달서구 죽전동 234
  달성파크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중구 달성동 1501
  동대구역 화성파크드림 동구 신암동 1304
23.7. 빌리브 파크뷰 달서구 두류동 166
  해링턴 플레이스 동대구 동구 신암동 1265
  빌리브 클라쎄 달서구 본동 317
  범어쌍용 더 플래티넘 수성구 범동구  292
23.8 빌리브 프리미어 중구 삼덕동 263
  서대구 센트럴자이 북구 원대동 1658
  대봉교역 금호어울림에듀리버 남구 이천동 433
  수성 센트럴화성파크드림 수성구 중동 230
23.9 대구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 중구 수창동 768
  오페라 센텀파크 서한이다음 북구 고성동3가 417
  대구역힐스테이트 중구 태평로 953
  동대구 더센트로 데시앙 동구 신천동 860
23.10 죽전역 시티 프라디움 달서구 죽전동 120
  청라힐 지웰센트로 중구 대신동 159
  수성더팰리스 푸르지오더샵 수성구 파동 1299
  수성푸르지오 리버센트 수성구 중동 714
  서대구역 반도유보라센텀 서구 평리동 1678
  서대구역 화성파크드림 서구 평리동 1594
23.11 죽전역 코아루 더리브 달서구 감삼동 376
  테크노폴리스예미지더센트럴 달서구 유가읍 894
23.12 수성범어 더블류 수성구 범어동 1868
  한양수자인 더팰리시티 달서구 송현동 1021
  수성해모로 하이엔 수성구 파동 795
  동대구동화아이위시 동구 신천동 144

2. 24년 입주물량 : 27개 단지, 총 16,702세대 

입주시기 아파트명 소재지 세대수
24.1 죽전역태왕아너스 달서구 본리동 306
24.2 대구 용산자이 달서구 용산동 429
  뉴센트럴두산위브 더제니스 달서구 본리동 372
  죽전영 에일린의 뜰 달서구 죽전동 959
  힐스테이트 도원센트럴 중구 도원동 1150
  힐스테이트 대구역오페라 북구 고성동 1207
24.3 힐스테이트 달성공원역 중구 태평로3가 392
  북구청역푸르지오 에듀포레 북구 노원동 1가 568
24.4 힐스테이트 동인센트럴 중구 동인동 500
  동대구더샵 디어엘로 동구 신천동 1190
  동대구역 골드클래스 동구 신암동 392
  대구역 오페라 KCC스위첸 북구 고성동 929
  힐스테이트 감삼센트럴 달서구 감삼동 393
24.5 힐스테이트 감삼2차 달서구 감삼동 246
24.6 동인센트럴 대원칸타빌 중구 동인동 410
  호반써밋수성 수성구 두산동 469
  힐스테이트 만촌엘퍼스트 수성구 만촌동 420
24.7 중앙로역 푸르지오더센트럴 중구 서성로1가 368
  만촌역 태왕디아너스 수성구 만촌동 450
24.8 해링턴플레이스 반월당2차 중구 남산동 493
24.9 더샵 프리미엘 북구 침산동 456
  동성로 SK리더스뷰 중구 삼덕동 335
  힐스테이트 대명센트럴 남구 대명동 1089
24.10 화원동화아이위시 달성군 화원읍 673
24.11 월배라온프라이빗 디엘 달서구 진천동 699
  힐스테이트 대명센트럴 남구 대명동 1089
24.12 힐스테이트 만촌역 수성구 만촌동 718

요즘은 부동산 정보 공유가 워낙 빠르다 보니 대구에 선진입하는 투자자들도 많지만, 섣불리 투자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 대구 수성구 학군의 중심지로 집값을 주도하는 범어4동 만촌 3동 역시 가격급락과 거래량급감으로 물량이 쌓여가고 있다. 전세가가 급락하면서 투자금 역시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큰 금액을 들여 선진입하기에 대외시장 변수(금리, 세계경제, 한국경제)및 대구의 부동산시장이 희망보다는 부정적이다. 또한 대구는 분양가 상한제 지역에서 벗어나 분양을 했기 때문에 분양가도 낮지 않다.  하지만, 대구는 자체수요가 탄탄한 지역이기 때문에 입지 및 물량을 잘 분석하여 물량이 소화되면서 전세가가 올라가고, 매매가는 아직 오르지 않은 시점, 전세가율이 좋은 시점을 찾아 매수한다면 적절한 투자타이밍이 아닐까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초과된 공급량이 소화되는 시점은 빠르면 25년 말에서 26년 정도가 되지 않을까 예측해 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