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직장인

by 예쁜꿀벌 2023. 4. 26.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다.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이라면 연간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소득세를 납부하는 연말정산만 하면 되지만,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등 다른 금융소득이 추가로 발생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되는 직장인들이 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를 물어야 할 뿐만 아니라 대출받을 때 금융기관에서 요구하는 '소득금액증명'서류가 발급되지 않기 때문에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종합소득세 신고를 끝내도록 해야 한다.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직장인

  • 중도 퇴사자 : 직전 근무지에서 퇴사로 인해 연말정산을 하지 못한 경우, 세금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로 분류되기 때문에 개 인적으로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 근로소득 외 프리랜서 또는 사업자 소득 : 근로소득외 유튜버 등으로 추가수입을 얻거나 부동삼 임대소득 등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 ※연간 주택 임대 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직장인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나, 2000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분리과세(세율 14%)를 선택할 수 있다.]
  • 3.3%를  공제하는 사업소득이 아닌 기타 소득으로 분류되는 수입이 있는 경우, 300만 원을 초과하면 연말정산과 구분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 두 군데 이상의 직장에서 근로소득을 받는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은 한 회사에서 1년 동안 받은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홈택스에서 신고대상 확인여부 방법

위의 내용을 보고도 내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인지 확실히 모르겠다면, 홈택스를 통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1. 홈택스로 들어가서 인증서 로그인
  2. 조회/발급 > 세금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신고도움 서비스 클릭
  3. 귀속연도(2022년) 선택 후, 기장의무구분 확인
  4. 상단 미리보기를 클릭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정보 확인

신고안내문을 보면 13가지 유형 중 본인이 어떤 유형이며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복식부기 등 어떤 방법으로 신고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참고로 유튜버나 블로그 애드센스 수익 등 해외수익은 잡히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신고해야 한다.

 

5월 내에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하지 못했다면, '기한 후 신고'를 할 수 있다. 기한 후 신고는 법정신고기한 내에 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관할 세무서장이 통지하기 전까지 자진 신고할 수 있는 제도이다. 기한 후 신고를 하면 무신고 가산세를 피할 수 있으며 납부 지연 간산세를 하루라도 줄 일 수 있다. 1개월 이내 신고 납부하면 가산세의 50% 감면, 2~3개월 이내라면 30%, 4~6개월 이내라면 20%까지 가산세를 감면해 주기 때문에 5월 중에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하지 못했다면 기한 후 신고는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