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무릎관절염 증상 및 치료, 운동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무릎 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관절 중 하나로, 움직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행성 무릎관절염이라는 고통스러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희 엄마도 70대 중반이신데, 퇴행성 무릎 관절염 4기이십니다. 대형병원에 내년에 수술예약을 해놓은 상태인데요. 그래도 최대한 무릎을 쓸 수 있을 때까지 쓰고 인공관절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1. 퇴행성 무릎관절염이란?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무릎 관절의 연골이 손상되고 마모되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노화로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하며, 부상, 과도한 체중,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원인
2.1 노화
가장 흔한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원인 중 하나는 노화입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연골은 자연적으로 마모되고 손상될 수 있습니다.
2.2 부상
무릎 부상은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유발하는 또 다른 주요 원인입니다. 스포츠 부상, 작업 중 발생한 부상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2.3 체중
과도한 체중은 무릎 관절에 과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4 유전적 요인
가족력도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발생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3. 증상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주요 증상
3.1 통증 무릎 관절 부위에서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합니다.
3.2 무릎 관절의 통증으로 인해 걷는 것이 힘들고, 아래로 경사진 곳을 걸을 때 통증이 심합니다.
3.3 종아리 근육이 빠지고, 오자다리로 뼈도 변화하게 됩니다.
4. 운동 방법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말기가 되면 결국 수술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인공관절은 보통 15년 정도의 쓸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본인이 견딜 수 있을 만큼 견딘 후 인공관절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인공관절 수술 후에도 허벅지 근력등을 키워서 무릎을 최대한 아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위한 운동은 꼭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1 스트레칭 운동
무릎 관절을 스트레칭하는 운동은 관절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2 근력운동
무릎관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허벅지 근육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허벅지 근력을 키우게 되면 무릎에 가해지는 힘이 적기 때문입니다.
4.3 유산소 운동/체중감량
걷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을 하기 힘들 수 있는데, 실내 자전거를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또한 체중이 증가하면 무릎이 몸을 지탱하느라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체중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여유가 되신다면 재활의학과에서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처방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나는 바르게 운동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잘못된 자세로 운동한다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노화로 인한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결국 인공관절 수술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수술하기 전까지 적절한 관리와 치료 운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해야, 수술 후 관리도 잘할 수 있습니다. 덧붙이자면 수술 및 관리도 대형병원에서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 어머니께서는 무릎으로 너무 고통받으셔서 수술목적으로 3군데 정도 대형병원을 가졌는데, 마지막에 갔던 병원에서 처방해 주신 약이 잘 맞아서 현재는 고통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하십니다. 어머니께 맞는 약을 찾아서 운동과 함께 관리를 하고 계십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완전히 치료하기는 힘들지만, 적절한 관리와 운동으로 고통을 줄일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식단관리를 통한 체중관리, 나에게 맞는 운동방법 등, 전문가의 조언 등을 참고한다면 분명히 좋아질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천성 모반(반문상 모반) 상담 후기 (0) | 2023.11.07 |
---|---|
뇌출혈 골든타임 및 전조증상 체크리스트 (0) | 2023.11.01 |
방사능 걱정 없는 노르웨이산 고등어 추천 (1) | 2023.10.18 |
작두콩차 : 비염, 탈모에 좋은 건강차 (1) | 2023.09.16 |
황반변성에 효과적인 방법 소개 (0) | 2023.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