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47

주택임대차 신고 필수화에 따른 신고방법 주택 임대차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 임대료 등 계약주요 내용을 신고하도록 의무화한 것으로 오는 6월 1일부터 의무화됨으로써 그에 따른 신고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택임대차 신고 대상 주택 임대차 계약(신규, 갱신, 변경, 해제)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 임대료 등 계약주요 내용을 신고하도록 의무화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써 계약 체결일 30일 이내에 임대인+임차인 모두 공동신고해야 한다.(단, 계약서 제출 시 임대인 또는 임차인 중 한 명만 신고해도 공동신고 처리) ※전입신고, 확정일자와는 다른것으로 별도로 신청해야 한다. 신고대상은 다음과 같다 임대료 : 보증금 6천만원 초과, 월세 30만 원 초과하는 경우 대상지역 : 수도권 전역(광역시, 세.. 2023. 4. 23.
다주택자 전세퇴거자금(전세보증금 반환)대출 한도 및 조건 언론에서 부동산 대출규제가 많이 완화되었다고는 하나, 문제가 되고 있는 전세퇴거자금의 경우 DSR조건 때문에 대출한도 및 조건이 까다로워서 여전히 대출을 못 받는 집주인들이 많다. 그래서 다주택자 전세퇴거자금 대출한도 및 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세퇴거자금 반환 대출 규제 완화-절반의 진실 전세금을 반환하지 못하는 임대인이 늘어남에 따라 정부는 3월 2일부터 임차보증금 반환목적 주택담보대출과 관련한 각종 제한을 완화하였다. 이 소식을 듣고 전세퇴거대출은 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많은 다주택자들이 실제 대출을 받으려고 은행문을 두드렸을 때 '대출 안됩니다'라는 대답을 듣고 멘붕에 빠진 경우를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종종 볼 수 있었다.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도 전세퇴거자금(전세보증금반환)용으.. 2023. 4. 22.
공인중개사 없이 부동산 전자계약서 작성하는 방법 직거래 및 갱신계약의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공인중개사 없이 당사자간 부동산 전자계약서 작성하는 방법을 실제 해본 경험을 토대로 작성해보고자 한다. 당사자간 부동산 전자계약을 하는 경우 지난 글에 이어서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는 경우가 아닌, 이미 살고 있는 세입자와 갱신계약을 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했던 부동산 전자계약에 대한 후기이다. 전세나 월세 재계약의 경우 당사자간 계약을 하게 되면 공인중개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이때 지리적으로 계약당사자가 떨어져 있다거나 시간이 맞지 않다면 편리하게 전자계약서를 활용할 수 있다. 국토부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은 공인중개사를 끼고 해야 하지만, 민간플랫폼을 활용할 경우 당사자끼리만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당사자간 부동산 전자계약서 작성 절차 계약서를.. 2023. 4. 21.